본문 바로가기
영화

넷플릭스 영화 베놈 외계생명체와 인간의 공존

by 뀨잉쀼잉 2025. 4. 9.

외계생명체 베놈과 인간의 공존을 그린 SF 마블 영화 <베놈> 이 영화의 줄거리, 캐릭터분석, 관람 포인트를 정리해 본다.

베놈 영화 포스터

 

1. 영화 '베놈’이 가진 작품성과 독창성

2018년 개봉한 영화 베놈(Venom)은 슈퍼히어로 장르 중에서도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기존 마블 영화들이 밝고 정의로운 분위기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반면, 베놈은 어둡고 혼란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전개되는데, 특히 이 작품은 마블 유니버스에 속해 있으면서도 독립적인 세계관을 구축하며 단일 캐릭터 중심 영화로서의 완성도를 보여준다. 영화는 '외계 생명체와 인간의 공존'이라는 상징적인 테마를 통해 인간 내면의 욕망과 분열된 자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주인공 에디 브록과 외계생명체 베놈이 하나의 육체를 공유하면서 겪는 갈등과 화해의 과정을 통해, 단순한 액션을 넘어서 영화의 서사적 깊이를 더해준다. 이러한 점은 영화의 작품성을 높여주는 요소로, 단순히 화려한 특수효과에 의존하지 않고 캐릭터 중심의 서사구조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 영화 '베놈'의 줄거리 요약과 주인공 소개

이 영화의 줄거리는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흥미롭다. 주인공 에드 브록(톰 하디)은 정의감을 가진 탐사 기자로, 거대 생명공학 기업 ‘라이프 재단’의 어두운 이면을 파헤치려다 일자리를 잃고 연인과도 이별하게 된다. 그러던 중 우연히 연구소에 잠입하게 되고, 외계 생명체 '심비오트'와 접촉하면서 사건이 시작된다. 외계 생명체중 하나인 ‘베놈’이 에디의 몸에 기생하게 되고, 하나의 육체를 공유하면서 서로의 인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에디는 처음엔 두려워하지만 점차 베놈과 협력하며, 악한 세력에 맞서 싸우게 된다. 영화는 이 과정을 통해 공존과 도덕성,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배우 톰 하디는 1인 2역에 가까운 연기를 선보이며 에디와 베놈의 갈등과 고통, 또는 유머를 실감 나게 표현해 낸다. 그는 다양한 작품에서 보여준 깊은 연기력을 이 영화에서도 유감없이 발휘하며, 베놈이라는 복잡한 캐릭터를 잘 소화해 관객들에게 보여준다. 이처럼 줄거리와 배우의 연기력이 결합되어 몰입도 높은 전개와 시청각적 만족을 동시에 제공하는 영화라고 볼 수 있다.

 

3. 마블 히어로물속 ‘베놈’의 차별성

영화 <베놈>은 기존의 마블 영화들과는 명확하게 구별되는 개성 있는 히어로 영화다. 일반적인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히어로들이 주로 팀워크와 정의 구현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를 다룬다면, 베놈은 훨씬 개인적이고 내면적인 갈등에 집중한다. 주인공 에디 브록은 자신조차도 통제할 수 없는 외계 생명체와의 공존 속에서, 도덕적 선택과 생존의 기로에 서게 되는데, 이런 내용들이 다른 히어로 영화와는 달리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또한 베놈은 절대적인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다른 판단을 내리는 모호한 존재로 표현되는데, 이 점은 더욱 현실적이고 복합적인 메시지를 더해준다. MCU의 대표작인 ‘어벤저스’나 ‘아이언맨’이 영웅 서사 중심이라면, 베놈은 인간의 본성과 그림자에 대한 은유가 중심이 되는 영화라고 볼 수 있다.
영화 <베놈>은 이후 속편인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와 <베놈 3: 라스트 댄스>로 이어지며 더 깊은 세계관을 확장하고 있다. 히어로물 영화에 관심이 있다면 영화 <베놈>으로 다시 한번 세계관을 확장해 보는 것이 어떨까.

 


TOP

Designed by 티스토리